Be Joyful!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혼자 보고싶은 망고플레이트 데이터 분석 본문
★주의★ 잘못된 정보가 가득할 수 있습니다. ^_ㅠ
학습자의 뇌피셜로 작성한 글이므로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부디 양해 해주시고,,,
따끔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오늘은 부트캠프를 통해 데이터 분석 실무에 필요한 기초적인 내용을 학습했습니다. 개(발)알못에 데(이터)알못인 저에게는 정말 험난한 하루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의 학습이 신라면이었다면, 오늘의 학습은 핵불닭볶음면 같은 느낌이랄까... 후... 이번주는 정말 열심히 공부해야겠다는 다짐을 하며, PM으로서 데이터에 대해 어떤 접근이 필요할지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고자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도 아니고, 개발자도 아닌 PM이 데이터를 다뤄야 하는 이유는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관리함에 있어서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함입니다. PM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며 솔루션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는 가설 수립과 검증 단계에서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의사 결정 단계에서 이해관계자를 설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PM은 데이터 분석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여,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했으니, 학습한 내용을 프로덕트에 적용해 볼 차례입니다.
우선 오늘의 프로덕트로 선정한 맛집 검색 어플 '망고플레이트'의 유저 Flow chart를 간단하게 만들어보고, 해당 프로덕트의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지 추정해 볼 예정입니다.
망고플레이트 로그인 & 맛집 찾기 프로세스
망고플레이트는 어떻게 작동할까?
개&데알못인 저는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이라는 구세주같은 책을 읽고, 조금이나마 친근하게 개념을 익히고자 했습니다. 책에 나온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DB의 관계를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만한 도식으로 그려보며 스스로를 이해시켜 보고자 했습니다... 물론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는 저도 모릅니다. ^_ㅠ 이 부분은 열심히 학습한 후 추후 7주차 회고를 통해 과거의 무지한 저를 반성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읍니다...
<뇌피셜 회원가입 작동방식>
해당 도서를 통해 알게된 바로는 다음과 같이 클라이언트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때 JSON이라는 형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고 합니다. 만약 위 id와 pw를 JSON 형식으로 작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은 아래와 같이 아주 시크한 숫자로 나타납니다. 위의 예시 자료처럼 계정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우리는 200번대 숫자를 응답으로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200 - OK 잘됐어
- 400 - 너 때문에 안됐어 (클라이언트 요청에 문제가 있는 경우)
- 500 - 미안 나 때문에 안됐어 (서버 측에 문제가 있는 경우)
<맛집 찾기 작동 방식>
맛집을 찾기 위해서는 맛집 DB가 구축되어야 할 것입니다. 맛집 DB는 아마도 오늘 배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관련 지식이 없으므로 뇌피셜에 근거하여 데이터 구축 방식을 추정해보겠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모든 식당의 정보를 한 테이블로 만든다면 한 테이블에 항목이 수십 개가 되어 관리가 어려워질 것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테이블을 쪼개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예)
식당명: 계란집딸들 / 지역: 인천시 서구 / 음식종류: 카페 / 메뉴: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 가격정보: 만원 미만 / 영업시간 09:30-20:30 등등등...
이 많은 정보를 다 쪼개려니 제 머리가 쪼개질 것 같아, 간단한 정보만 나누는 것을 시도해봤습니다.
<식당정보 테이블>
RESTAURANT_ID (기본키) | 식당명 | 음식코드 |
R1 | 계란집딸들 | 1 |
R2 | 수박집딸들 | 2 |
R3 | 메론집딸들 | 3 |
R4 | 타조알집딸들 | 4 |
<음식종류 테이블>
음식코드 | 음식종류 |
1 | 카페 |
2 | 한식 |
3 | 양식 |
4 | 분식 |
두 테이블을 Join하여 식당명 & 음식종류를 추출한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습...지 않을까요? 잘 모르겠습니다.ㅎ//ㅎ
식당명 | 음식종류 |
계란집딸들 | 카페 |
수박집딸들 | 한식 |
메론집딸들 | 양식 |
타조알집딸들 | 분식 |
하..뇌피셜 가득한 오늘의 과제를 마치며... 부족한 부분은 널리 양해해주시고 따끔하게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차주에는 더욱 성장한 모습으로 데이터와 맞서 싸울 수 있길! 불.끈.
'PMB 10 Daily - 매일매일 성장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린 분석으로 살펴보는 넷플릭스의 Next Step! (0) | 2022.03.01 |
---|---|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GA도 다 무신사랑 해! (0) | 2022.02.25 |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오픈갤러리 랜딩페이지 개선을 위한 A/B 테스트 설계 (2) | 2022.02.23 |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내 인생, 첫 그림구독 '오픈갤러리' 랜딩페이지 분석 (2) | 2022.02.22 |
코드스테이츠 PMB 10기 | 주린이의 마음을 설레게 한 '토스증권'의 그로스해킹 전략 (2) | 2022.02.17 |